전문가와 함께하는 글로벌 커리어의 시작
INTRODUCTION
(Aerospace Engineering)
항공우주공학은 항공기(aircraft)와 우주선(spacecraft)의 설계, 제작, 시험, 운용을 다루는 공학 분야입니다. 크게 항공(Aeronautical)과 우주(Astronautical) 두 분야로 나뉩니다.
Aviation Subfields
분야 | 주요 내용 |
---|---|
항공역학 | 비행체 주변의 공기 흐름 분석 (유체역학 기반) |
추진 시스템 | 제트엔진, 로켓엔진 등 추진력 발생 메커니즘 연구 |
비행역학 및 제어 | 비행 안정성과 조종성, 자동 제어 시스템 개발 |
우주비행학 | 위성 궤도, 우주선 비행 경로, 행성 탐사 등 |
항공기 구조 및 재료 | 경량화된 항공재료, 항공기 구조물 설계 |
항공전자(Avionics) | 항법, 통신, 센서, 자동 조종 시스템 개발 |
Recommended For
✓ 비행체, 우주탐사에 흥미가 있는 학생 ✓ 수학과 물리에 강점이 있고, 엔지니어링 문제 해결을 좋아하는 사람 ✓ 미래 우주 산업, 도심항공모빌리티(UAM), 드론 등 신기술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
About Aerospace
항목 | 내용 |
---|---|
전공 내용 | 항공기, 위성, 로켓, 무인기, 우주선 등 항공/우주 시스템의 설계, 제작, 운용, 테스트 등을 다룸 |
세부 분야 | 비행역학, 항공기 구조, 추진 시스템, 항법/항법 제어, 위성 기술, 연료역학 등 |
수학/과학 기반 | 수학, 물리, 역학, 전자기학, 제어이론 필수 |
요구 역량 |
수리·물리 논리력, 창의력, 프로그래밍(C++, MATLAB), |
Recommended Countries
국가 | 특징 |
---|---|
미국 | NASA, SpaceX, Boeing, Lockheed 등 세계 항공우주 중심지 STEM 전공 졸업 시 최대 3년 OPT 취업 가능 |
영국 | 유럽 우주국(ESA) 연계, 3년 학사 + 1년 석사 구조 |
캐나다 | 우주 로봇공학 특화, 항공산업 강국, 유학 후 이민 유리 |
독일 | Airbus, DLR(독일 항공우주 연구소) 중심, 국립대 무학비 |
호주 | 항공기술, 무인기 기술 특화, 3~4년 학제, 영어권 이점 |
Aerospace University Rankings
(학부/석사)
랭킹 | 대학명 | 특징 |
---|---|---|
1위 | MIT | 항공우주공학 최상위, NASA 협력, 우주선/위성 기술 특화 |
2위 | Stanford University | 드론, 항법, 제어계통 강점 |
3위 | University of Michigan - Ann Arbor | 항공기 구조·소재 분야 우수, 학부도 강력 |
4위 |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| 실험 중심 커리큘럼, Boeing과 파트너십 |
5위 | Purdue University | 우주비행사 배출 1위, 실무 기반 프로그램 강세 |
6위 | Caltech | NASA JPL과 연계, 이론+연구 중심 |
7위 | Embry-Riddle Aeronautical University | 항공 특화 대학, 조종+공학 통합 가능 |
Admission Prerequisite
(미국 기준)
항목 | 내용 |
---|---|
고등학교 성적 | 수학, 물리, 화학 성적 우수 필요 (GPA 3.5 이상 권장) |
SAT/ACT | 일부 대학은 선택사항, 수학 고득점 필요 |
영어 성적 | TOEFL 80 -100 이상 |
에세이 | 전공 동기 + 진로계획 강조 |
포트폴리오 | 일반적으로 불필요 (공학 전공은 프로젝트/활동 위주) |
Curriculum
(학부 기준)
학년 | 주요 과목 |
---|---|
1학년 | 미적분, 일반물리, 컴퓨터프로그래밍, CAD |
2학년 | 열역학, 유체역학, 재료역학, 전기회로 |
3학년 | 항공역학, 구조해석, 추진시스템, 제어공학 |
4학년 | 비행체 설계 캡스톤 프로젝트, 우주비행역학, 항법 시스템 |
Post-Graduation Careers
분야 | 설명 |
---|---|
항공기 엔지니어 | Boeing, Airbus, 항공사 기술직 |
우주 시스템 엔지니어 | NASA, SpaceX, 위성기업, 우주 로봇 |
무인기/드론 개발 | 국방, 민간 드론 산업 |
연구원/대학원 진학 | 로봇공학, 나노소재, 우주기계시스템 등 |
평균 연봉 | $80,000 ~ $120,000 (미국 기준) |
Advantageous Study Strategy
✓ 미국에서 STEM 전공 + 3년 OPT 가능 ✓ Purdue, Georgia Tech, Embry-Riddle 등은 비교적 입학경쟁률 낮으면서도 실무강세 ✓ 포트폴리오 대신 공학 탐구활동, 인턴경험, 자율설계 프로젝트 강조 ✓ 한국 귀국 시 항공우주연구원(KARI), 한화에어로스페이스, LIG넥스원 등 취업 가능성 있음
AAA유학
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4-6 스타플랙스 빌딩 5층
AAA유학(강남 CGV건물 3층,5층)
대표자 : 조상현      전화 : 02-599-7980
사업자등록번호 : 703-45-01021      
개인정보관리책임자 : 조상현